김신조는 1968년 1월 21일 발생한 ‘1·21 사태’로 알려진 청와대 습격 사건에 참여한 북한 무장공비로, 이후 대한민국에 귀순하여 목회자로 활동한 인물입니다. 2025년 4월 9일, 향년 83세로 별세하였습니다.
김신조의 생애와 경력
1942년 6월 2일, 함경북도 청진에서 태어난 김신조는 북한 인민군 장교로 복무하던 중, 1968년 1월 21일 박정희 대통령 암살을 목적으로 한 청와대 습격 작전에 참여하였습니다. 이 작전은 북한 특수부대인 124부대 소속 무장공비 31명이 수행하였으며, 김신조는 그중 한 명이었습니다.
침투 과정에서 대부분의 공비는 사살되었고, 김신조는 유일하게 생포되어 귀순하였습니다. 생포 직후 기자회견에서 “박정희 모가지 따러 왔수다”라는 발언으로 유명해졌습니다.
귀순 후, 김신조는 대한민국 시민으로서의 삶을 시작하였습니다. 서울침례회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1997년 목사 안수를 받아 목회자의 길을 걸었습니다. 이후 서울 성락교회 등에서 목회 활동을 하며 안보 강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김신조 가족과 자녀
김신조는 대한민국에 정착한 후 결혼하여 슬하에 두 자녀를 두었습니다. 가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그는 한 인터뷰에서 “처음 교회에 나가게 된 건 배우자의 권유였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김신조 사망
김신조 목사는 2025년 4월 9일 새벽, 향년 83세로 별세하였습니다. 빈소는 서울 영등포구 교원예움 서서울장례식장에 마련될 예정입니다.


김신조 사건과 그 영향
1968년 1월 21일 발생한 ‘1·21 사태’는 북한 무장공비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려다 실패한 사건입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는 향토예비군 창설, 전투경찰대 도입 등 안보 체계가 강화되었습니다. 또한, 대통령 경호를 강화하기 위해 인왕산과 북악산, 청와대 앞길의 일반인 통행이 금지되기도 했습니다.
김신조는 이 사건의 유일한 생존자로서, 이후 대한민국에서 목회자로 활동하며 안보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그의 삶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며, 많은 이들에게 교훈을 남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