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마스터

이슈&뉴스

국내주식-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2024년 사업보고서 분석: 에이비엘바이오 매출액, 실적, 전망 총정리

2024년 에이비엘바이오 매출액, 실적, 전망 총정리합니다.

분석 자료의 출처는 에이비엘바이오 2024년 사업보고서입니다.

🔹 1. 기업 개요

1) 설립일

  • 2016년 2월 16일 설립
  • 2018년 12월 19일 코스닥 상장 (기술특례 상장)

2) 본점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 16, 2층(삼평동)

3) 업종 및 주요 사업

  • 업종: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전문기업
  • 주요사업:
    • 이중항체 기반 항체치료제 연구개발
    • 기술이전(License-out)을 통한 사업화
    •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및 ADC(항체-약물 접합체) 개발 등

4) 종속회사

  • ABL Bio USA, Inc. (2022년 7월 설립, 100% 자회사)
  • 미국 현지에서 사업개발(BD) 전담

5) 주식 및 자본금 현황 (2024년말 기준)

  • 우선주 발행: 2024년 7월, 전환우선주 발행 (1주당 발행가액: 24,229원, 누적적·참가적 우선주)
  • 전환권 행사 기간: 2025년 7월 12일 ~ 2029년 7월 11일

6) 주요 주주 및 임원

  • 대표이사: 이상훈
  • 주요 이사: 이재천 (사내이사), 외부 이사 및 감사위원 3인

7) 기타 주요 사항

  • 기술이전 계약을 다수 체결 (Sanofi, Compass Therapeutics, 유한양행 등)
  • 파이프라인의 조기 기술이전을 통한 마일스톤 수익 확보 전략
  • 사업 수익 대부분이 기술이전 수익에서 발생
  • 연구개발비 대부분 외주용역에 의존 (CMO 활용)

🔹 2. 연결 재무상태표 분석 (단위: 백만원)

① 주요 재무항목 요약 및 증감

💡 요약:

  • 자산은 전년 대비 +44.9% 증가, 특히 단기금융상품 증가(8,010 → 80,000백만원)가 주된 요인입니다.
  • 부채는 전년 대비 24.8% 감소했으며, 이는 2023년에 있던 장기차입금 43,000백만원이 대부분 상환되었기 때문입니다.
  • 자본은 유상증자와 주식보상비용 반영으로 인해 약 2.3배 증가했습니다​.

② 재무비율 분석

💡 해석:

  • 부채비율이 38.7%로 크게 낮아졌고, 자기자본비율이 72.1%로 상승하면서 재무 건전성이 대폭 개선되었습니다.
  • 유동비율도 227.4%로 200%를 넘기며, 단기지급능력 측면에서도 매우 양호합니다.

🔸 핵심 요약

  • 재무구조 개선: 차입금 상환, 자본금 증가 등으로 인해 부채비율 하락, 자기자본비율 상승
  • 유동성 강화: 현금 및 단기금융상품 증가로 유동자산 약 2배 증가
  • 리스크 축소: 장기차입금 상환 및 기타부채 감소로 전반적인 부채 부담 경감

🔹 3. 연결 손익계산서 분석 (단위: 백만원)

① 주요 손익 항목 요약 및 증감

💡 요약:

  • 매출은 기술이전 수익 급감으로 전년 대비 -49% 감소
  • 연구개발비 증가(R&D) 등으로 영업비용은 증가, 이에 따라 영업적자 약 593억원 발생
  • 당기순손실은 전년 -26억원 → -555억원으로 대폭 확대됨​.

② 수익성 지표

💡 해석:

  •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 모두 크게 악화, 매출 감소 및 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
  • ROA 및 ROE 또한 마이너스로 전환, 수익성 전반이 2023년 대비 큰 폭으로 저하
  • EPS도 -1,156원으로 적자 폭 확대

🔸 핵심 요약

  • 기술이전 계약 수 감소일회성 수익 부재로 매출 급감
  • 연구개발 집중 투자에 따른 비용 증가로 대규모 영업손실
  • 전반적인 수익성 지표 악화, 향후 기술이전 성과 여부가 실적 회복의 관건

🔹 4. 연결 현금흐름표 분석 (단위: 백만원)

① 주요 항목 요약 및 증감

💡 요약:

  • 영업현금흐름은 대규모 적자와 운전자본 부담으로 인해 마이너스 폭이 커졌습니다.
  • 투자활동은 단기금융상품 및 공정가치 금융자산 취득 증가로 인해 대규모 유출이 발생했습니다.
  • 재무활동은 **전환우선주 유상증자(1,400억원)**와 주식선택권 행사로 인해 급증​.

② 현금흐름 변화 원인

  • 영업활동 흐름 악화:
    • 순손실 -555억원 반영
    • 자산 증가 및 부채 감소로 인한 운전자본 유출 약 -208억원
  • 투자활동 흐름 악화:
    • 단기금융상품 증가 (-8,000억원)
    • 공정가치금융자산 취득 (-8,619억원)
  • 재무활동 자금 유입:
    • 전환우선주 유상증자: 1,399억원
    • 주식선택권 행사 수입: 59억원
    • 리스부채 상환: -128억원

🔸 핵심 요약

  • 영업에서 현금 유출 확대, 순손실과 운전자본 변화가 주요 원인
  • 투자활동은 공격적인 유동성 운용(단기상품 및 금융자산 투자)
  • 재무활동에서 자금 대거 유입, 유상증자를 통해 현금 확보
  • 기말 현금 보유액 562억원으로 유동성 안정성 확보

🔹 5. 사업부문별 분석

① 사업부문 구조

  • 보고부문: 단일 영업부문
    →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기술 기반의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기술적 성격과 마케팅 전략이 동일하여 별도 구분된 사업부문 없이 통합 운영되고 있습니다​.

② 지역별 매출 구성 (단위: 천원)

💡 해석:

  • 매출의 대부분은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이전 계약이 미국계 제약사들과 이루어진 데에 기인합니다.
  • 국내 매출은 극히 미미하며, 2023년에는 아예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③ 고객사별 매출 비중

💡 요약:

  • 연도별 매출의 95% 이상이 단일 고객사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고객집중도 매우 높음
  • 이는 기술이전 계약의 성격상 특정 기업과의 단일 대형 계약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구조 때문입니다​.

④ 사업부문별 수익 구분

💡 해석:

  • 2023년까지 존재하던 임대수익은 종속회사 청산으로 2024년에는 제외
  • 매출은 사실상 기술이전 수익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구조​

🔸 핵심 요약

  • 단일 사업부문 운영: 이중항체 기반의 바이오신약 R&D 중심
  • 미국향 기술이전 계약이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
  • 고객 집중도 높음, 매출 다변화 필요성 존재
  • 향후 추가 기술이전 계약 확보 여부가 실적 안정성의 핵심 요소

🔹 6. 연결 재무제표 주석 분석

① 회계정책 변경 및 영향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개정 적용 (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기준 명확화약정사항 존재 시 분류 기준 변경
    • 이 개정은 소급 적용되었으며, 재무제표에 중대한 영향 없음으로 판단됨​.

② 공정가치 측정 관련 정책

  • 자산 및 부채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수준 1~3)**에 따라 분류
  • 수준 3(관측 불가능한 투입변수 기반) 자산이 존재하며, 이는 시장 데이터 부족 및 내부 추정 기반 평가 항목 존재 가능성을 의미
  • 공정가치 평가부서 운영 및 감사위원회 보고 체계 존재 → 내부통제는 확보된 것으로 보임​.

③ 주요 회계추정의 불확실성

  • 추정이 재무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항목:
    • 확정급여채무(주석 16): 보험수리적 가정
    • 충당부채 및 우발채무(주석 17): 법적 분쟁 등 리스크 가능성 포함
    • 이연법인세자산(주석 25): 결손금 공제 여부에 따라 자산 인식 영향 가능​

④ 파생 리스크 항목 분석

  • 외환위험:
    • 주요 수익이 미국 기술이전계약에서 발생, USD 관련 환율변동에 따른 리스크 존재
    • 10% 환율변동 시 법인세비용차감전 손익에 수억 원 수준 영향 가능
  • 이자율위험:
    • 2023년까지 변동금리 차입금 보유(신한은행), 현재는 대부분 상환
    • 이자비용은 2024년 크게 감소
  • 고객집중위험:
    • 단일 고객 비중 95% 이상, 기술이전 실패 또는 계약 해지 시 실적에 직접적인 타격 우려

🔸 핵심 분석 요약

🔹 7. 사업보고서 분석 (시장상황, 성과 및 리스크)

① 산업 전반의 시장상황

  • 산업 정의: 바이오산업은 생명공학기술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이며, 특히 제약·바이오 부문이 핵심임.
  • 시장 환경: 2024년은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높았고,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은 투자위축과 경쟁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음.
  • 긍정적 요인:
    • 국산 신약의 FDA 승인
    •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 성사 확대
  • 부정적 요인:
    • 국내 정치 불안, 투자심리 악화
    • 기술력 부족 기업들의 자금난​.

② 에이비엘바이오의 성과 및 전략

💡 해석:

  • 기술이전 기반의 수익 창출 모델은 매출의 대부분이 미국 기반 제약사에서 발생함
  • 미국 및 유럽 파트너사 대상 맞춤형 R&D 협업 전략 구사로 경쟁력 유지 중​​.

③ 리스크 요인


🔸 최종 종합 요약

  • 강점: 독자적 이중항체 플랫폼, 미국 시장 중심의 기술이전 전략, 우수한 자본조달능력
  • 약점: 고객 다변화 미비, 매출 불확실성, 고정비 구조 대비 영업이익 안정성 낮음
  • 기회: 글로벌 제약사와 파이프라인 공동개발, FDA 승인 가능성
  • 위협: 시장 침체, 투자심리 악화, 경쟁 기술 등장

LEAVE A RESPONSE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