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간단한 소개
직장인, 학생, 일반인 할 것없이 챗GPT를 활용하는 게 일상이 되었습니다. 모두 알고 있는 것처럼 챗GPT는 미국의 AI기업 오픈AI에서 만든 가장 유명한 생성형 AI입니다.
지금 MZ 사이에서 챗GPT로 지브리 이미지 생성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본인의 프로필 사진을 챗GPT에 넣고 지브리 이미지로 만들어 달라고 명령하면 프로필이 간단하게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수정해 줍니다.
챗GPT로 지브리 이미지 생성하기
지브리 스타일로 그림 만들기 열풍으로 1주일 만에 제작된 이미지가 무려 7억장을 돌파했습니다. 오픈AI 최고운영책임자는 자신의 X(구 트위터)에 글을 올리고 “1억3000만명 이상의 이용자가 7억개 이상의 이미지를 생성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챗GPT로 지브리 이미지 생성을 해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챗GPT를 켭니다.

입력창에 “내가 업로드하는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수정해줘”라고 입력합니다.
그리고 사람이 나온 사진을 업로드 합니다.

잠시 기다리면 결과가 나옵니다.

챗GPT가 지브리 스타일로 사진을 수정해서 이미지를 생성해줬습니다. 챗GPT무료 버전에서는 횟수, 시간에 제한이 많습니다. 유료 버전을 사용하면 횟수, 시간, 우선순위에서도 이점이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거나 빨리 사용해야 한다면 유료 버전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챗GPT 지브리 이미지 생성의 문제점
챗GPT 지브리 이미지 생성은 MZ들의 놀이 문화로 자리잡고 있지만 이는 큰 문제점이 있습니다. 저작권 이슈입니다.
이미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책임자들은 “AI 이미지 생성을 지브리가 허락했을 리가 없지 않으냐”며 “허가 없는 이미지 사용이 왜 허용되는 것인가? 이건 지브리 브랜드 가치를 훼손할 수 있는 행위”라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유명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와 ‘나루토’ 등을 작업한 감독 헨리 서로우도 지난달 28일 SNS에 “AI로 지브리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이 무엇을 얻는가”라며 “원작 아티스트를 불쾌하게 만들고, 화나게 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못 얻을 것”이라고 불편함을 내비쳤습니다.